생활 정보

일상 생활에 있어 유용한 정보들을 알려드립니다. 바로 나에게 적용될 수 있는 정보들을 이곳에서 찾아보세요.

  • 2025. 4. 1.

    by. kindme

    목차

       

      기초연금, 과연 내가 받을 수 있을까?

       

      2025년 기준 기초연금 모의계산기를 활용하면, 수급 여부와 예상 금액을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       

      소득인정액 산정부터 감액 가능성까지 한눈에 파악 가능한 계산 방법을 안내합니다.

       

      부모님이나 본인의 수급 가능성을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.

       


      1. 기초연금 모의계산이란?

      기초연금 모의계산은 내가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을지, 받을 수 있다면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를 미리 알아보는 도구입니다.


      특히 2025년부터 기준연금액이 342,510원으로 인상되면서, 정확한 예상 수령액을 미리 확인하려는 수요가 높아지고 있습니다.

       

      모의계산은 다음의 항목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:

       

      • 나이 (만 65세 이상 여부)
      • 소득평가액
      • 재산의 소득환산액
      • 국민연금 수령 여부
      • 배우자 여부 및 부부 수급 여부

      2. 모의계산 전에 알아야 할 기본 개념

       

       

      ▪ 기준연금액

      → 2025년 기준 월 최대 342,510원

       

      ▪ 소득인정액

      → 소득평가액 + 재산의 소득환산액으로 계산
      단독가구 2,280,000원 / 부부가구 3,648,000원 이하일 경우 수급 가능

       

      ▪ 감액 요소

      • 부부가 함께 수급하면 각각 20% 감액
      • 국민연금 수급자는 일부 감액
      • 소득역전방지 감액도 적용될 수 있음

      3. 기초연금 모의계산 방법

       

      🔹 사용 사이트

      국민연금공단 공식 홈페이지 또는 복지로 접속

       

       

      📌 국민연금공단 사이트 기준 사용법

       

      1. 홈페이지 접속 후 상단 메뉴 → [기초연금] 클릭
      2. [기초연금 모의계산] 메뉴 선택
      3. 아래 항목 입력
        • 생년월일
        • 배우자 여부
        • 월 소득 (근로소득, 기타소득)
        • 재산 (일반·금융·부채)
        • 국민연금 수령 여부 및 수령액
      4. [결과 보기] 클릭
      5. 예상 수령 가능 여부 + 예상 수령 금액 확인!

       

      국민연금공단 사이트 바로가기


      📌 복지로 사이트 기준 사용법

       

      1.  홈페이지 접속 후 상단 메뉴 [복지서비스] > [모의계산] 클릭
      2. [기초연금 모의계산] 선택
      3. 필수 정보 입력
        • 생년월일 (만 65세 이상인지 확인)
        • 배우자 유무
        • 월 소득 (근로소득, 연금소득 등)
        • 일반재산, 금융재산, 부채
        • 국민연금 수령 여부

        4. 결과 확인 버튼 클릭!
             → 예상 기초연금 수령 가능 여부 + 금액이 나옵니다.

       

      복지로 사이트 바가기


      4. 실제 계산 예시로 이해하기 (2025년 기준)

       

       

      기초연금 모의계산기는 숫자만 입력하면 결과가 나와 편리하지만, 계산 과정을 이해하면 내 연금 수령 가능성과 금액을 더 정확히 예측할 수 있습니다.

       

      아래 예시들은 복지로 모의계산 방식에 기반해 구성된 시뮬레이션입니다.


      예시 ① 무연금 단독가구 A씨 (연금 전액 수령 가능)

       

      • 나이: 만 67세
      • 가구 유형: 단독가구
      • 근로소득: 월 70만 원
      • 기타소득: 없음
      • 금융재산: 1,500만 원
      • 국민연금 수령: 없음

       

      ➤ 소득인정액 계산

      • 근로소득 평가액 = 0.7 × (700,000 - 1,120,000) = 0 → 0원으로 간주
      • 금융재산 소득환산액 = [(1,500만 - 2,000만)] × 5% ÷ 12 → 0원 (기본공제 범위)
      • 소득인정액 총합: 약 0원

       

      ➤ 결과

      • 단독가구 기준선: 2,280,000원 이하 → 충족
      • 국민연금 없음 → 감액 없음
      • 최종 수령액: 기준연금액 342,510원 전액 수령 가능

       

      예시 ② 국민연금 수급 단독가구 B씨 (부분 감액)

       

      • 나이: 만 69세
      • 가구 유형: 단독가구
      • 근로소득: 없음
      • 국민연금 수령액: 월 30만 원
      • 재산: 없음

       

      ➤ A급여액 감액 적용

      감액공식: 기준연금액 - (2/3 × A급여액) + 부가연금액
      • 2/3 × 300,000 = 200,000
      • 342,510 - 200,000 + 171,250 = 313,760원

       

      ➤ 결과

      • 소득인정액 + 연금 합산 < 선정기준액(2,280,000) → 감액 미적용
      • 최종 수령액: 약 313,760원

       

      예시 ③ 부부 모두 수급권자인 C·D 부부 (부부감액 적용)

       

      • 나이: 남편 68세, 아내 66세
      • 가구 유형: 부부 모두 수급자
      • 국민연금: 둘 다 수령하지 않음
      • 근로소득: 없음
      • 재산: 없음

       

      ➤ 결과

      • 부부 모두 기준연금액 수급 가능 → 342,510원
      • 부부감액 20% 적용 → 342,510 × 0.8 = 274,008원씩 지급

      예시 ④ 부부 중 1인만 수급권자인 E·F 부부 (감액 없음)

       

      • 남편: 만 66세, 근로소득 월 50만 원
      • 아내: 만 63세 → 아직 기초연금 대상 아님
      • 국민연금: 없음
      • 재산: 1,000만 원

       

      ➤ 결과

      • 부부 중 남편만 수급 대상
      • 부부감액 비대상
      • 최종 수령액: 342,510원 전액 수령

       

       

       

      예시 ⑤ 국민연금 수급 + 재산 있는 단독가구 G씨 (소득역전방지 감액)

       

      • 나이: 만 68세
      • 국민연금 수령액: 월 40만 원
      • 근로소득: 없음
      • 금융재산: 3,000만 원
      •  

      ➤ 소득인정액 추정

      • 금융재산 소득환산 = [(3,000만 - 2,000만)] × 5% ÷ 12 = 약 41,600원
      • A급여액 감액 적용 = 342,510 – (2/3 × 400,000) + 171,250 = 342,510 – 266,667 + 171,250 = 247,093원

       

      → 연금포함 소득합계 = 약 288만 원 → 기준 초과

      소득역전방지 감액 적용되어 최종 수령액은 약 180,000원 수준 예상


      5. 모의계산 결과 해석하는 법

       

      • “수급 가능” + 예상 연금액 표시 → 신청하면 받을 수 있다는 뜻
      • “수급 불가” 표시 → 소득인정액 기준 초과
      • 금액이 적게 나올 경우 → 감액 요인 확인 (국민연금, 부부감액 등)

       

      ※ 모의계산은 어디까지나 예상치이므로, 실제 결과는 소득·재산 조사 후 변경될 수 있습니다.


      6. 계산결과와 실제 수령액이 달라지는 이유

       

       

      • 신고되지 않은 소득이나 재산이 추가로 반영되는 경우
      • 임대소득 누락, 자동차·회원권 등 고가 자산 반영
      • 부채 인정 여부, 지역별 기본재산액 차이
      • 부부관계 인식(사실혼 포함) 여부

       

      👉 실제 신청 전 정확한 정보로 계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
      7. 상담·신청까지 한 번에 해결하는 법

       

      • 📞 국민연금공단 고객센터 1355 → 전화로 상담 가능
      • 🏢 가까운 읍·면·동 주민센터 → 신청부터 계산까지 가능
      • 💡 찾아가는 서비스도 제공 → 거동 불편자, 고령자 대상

      기초연금 수급 조건과 신청 방법이 궁금하시면
      아래 글을 꼭 참고하세요!

      👇👇

      당신도 기초연금 받을 수 있습니다. 조건 달라졌어요!

      기초연금소개

       

      기초연금은 단순히 받는 금액보다 ‘받을 수 있는 권리’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

      모의계산을 통해 내 상황을 미리 점검해보고, 부모님께도 꼭 알려드려보세요.


      💡 꼭 기억하세요!

       

      정책은 매년 변경될 수 있으므로, 가입 전 고용노동부, 중소기업진흥공단, 국세청 등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.

      특히 신청 마감일, 정부 지원 조건은 매년 달라질 수 있으니 제도 이름만 듣고 넘기지 말고 꼼꼼히 읽고, 확인하고, 준비하세요.